
'여행 사진관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얼빈 빙등제에서 만난 우리의 남대문... (2) | 2007.09.29 |
---|---|
폭죽으로 시작하는 중국의 신년... (2) | 2007.09.01 |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2) | 2007.08.25 |
산문 - 중국으로부터의 서백두 여행의 관문 (0) | 2007.08.25 |
백두산 폭포 - 천지로부터 흘러와 물안개를 일으키며 부서지다 (0) | 2007.08.25 |
하얼빈 빙등제에서 만난 우리의 남대문... (2) | 2007.09.29 |
---|---|
폭죽으로 시작하는 중국의 신년... (2) | 2007.09.01 |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2) | 2007.08.25 |
산문 - 중국으로부터의 서백두 여행의 관문 (0) | 2007.08.25 |
백두산 폭포 - 천지로부터 흘러와 물안개를 일으키며 부서지다 (0) | 2007.08.25 |
성소피아성당 - 동서양의 조화를 이루는 중국의 퓨전도시 하얼빈의 명물 (0) | 2007.09.27 |
---|---|
흥콩반점(싱동판디엔) - 연길의 맛집 3 (0) | 2007.09.03 |
풍무뀀성(펑마오촨청) - 연길의 맛집 1 (0) | 2007.09.03 |
북한음식점 해당화식당 연길점 (0) | 2007.09.01 |
중국에도 연대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못 믿으시겠다고요? 믿으세요. (0) | 2007.08.22 |
이번에는 제가 즐겨 다니는 음식점을 몇군데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연길에는 워낙 한국인 입맛에 맞는 음식점이 많이 있지만 아래 음식점은 서비스도 괜찮고 환경도 깨끗하고 가격도 적절하다고 생각되어 올립니다
연길시 곳곳에 위치한 양꼬치 음식점입니다. 그중 여기는 저녁시간에 붐비는 곳이므로 역시 예약을 하시거나 조금 일찍 가시기 바랍니다. 꼬치 하나당 얼마로 계산합니다. 50전에서 1원짜리가 일반적이고 뭐 각 부위마다 여러 종류의 고기가 있으니 다양하게 맛보시기 바랍니다. 심지어는 뭐 숫양의 흠... 그 머시냐 중심부위도 파니까 궁금하신 분들은 잡숴보시길. 제가 즐겨 먹는것은 양꼬치(양로촬) 그리고 양간(양깔) 입니다. 양간은 식초와 참기름과 같이 나오는데 전 참기름에 소금을 넣고 식초에 살짝 찍고 그담에 기름소금에 찍어 먹습니다. 맛이 꽤 괜찮다는... 늦게까지 운영을 하고 먹을 만큼만 주문할 수 있어서 한국의 치킨집처럼 야식으로 맥주한잔에 곁들여 먹을만한 곳입니다. 다 먹고는 옥수수 국수 온면(웬미엔)로 입가심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집 온면이 꽤 맛이 있습니다. 둘이 가서 한 오륙십원(한국돈 6000-7000원) 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음 뭐 그냥 자신이 먹을 꼬치수에 술값이면 계산 끝... 하여간 편리한 곳입니다.
Copyright ⓒ 2007 www.nightmemory.com. All Rights Reserved.
흥콩반점(싱동판디엔) - 연길의 맛집 3 (0) | 2007.09.03 |
---|---|
동방불고기(뚱팡샤오카오) - 연길의 맛집 2 (0) | 2007.09.03 |
북한음식점 해당화식당 연길점 (0) | 2007.09.01 |
중국에도 연대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못 믿으시겠다고요? 믿으세요. (0) | 2007.08.22 |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 혼례 행사... (0) | 2007.08.21 |
연길에서 기본거리는 5월 기본거리 이상은 10원이 보통인데... 거리가 애매해서 6-7원 거리도 10원을 주게되니 매번 택시기사들과 목적지를 이야기하고 먼저 흥정을 하세요. 처음에는 거리감각이없어서 잘 모르실테니 흥정을 해봐서 서너대가 다 5원에 안 된다고 하면 10원거리구나 생각하시면 될꺼에요..
택시는 많으니까. "(목적지) 우콰이치엔!" 또는 "(목적지) 뚜어 샤오 치엔?" 요래서 고개를 가로저으면 다음차로 넘어가면 서너대 중에 한 차는 양심적으로 나올껍니다. 물론 외국인인줄 뻔히 하니까 분명 5원 거리도 10원이라고 우겨대는 기사들고 많고요. 현지인들도 택시기사들하고 엄청 다투니까 당연한것으로 여기시고. 딱 인상봐서 너무 우락 부락 하거나 성깔있어 보이지 않는사람으로 골라타세요.
전 한번 10원거리를 15원 달라고 해서...못준다 실랑이 했더니 멱살을 잡고 난리를 쳐서 그냥 5원 더 던져주고 나오는데 성질나서 문짝을 발로 닫았더니 길쭉한 드라이버 휘둘르면서 나오더군요. 어이가 없어서. 어차피 거기서 붙어봐야 이기더라도 외국인이 손해이니 실랑이 안하는게 이득입니다.
그리고 또한가지. 여자 택시기사들이 바가지 더 잘 씌웁니다. 이건 그냥 제 경험상하는 말이니 절대적인건 아닙니다. 항상 5원짜리를 준비하시는 것이 실랑이를 줄이시는 길입니다. 거슬러주려니 하고 10원 주면 그냥 주머니에 쏙 집어넣고 가라며 생떼쓰는 사람들도 종종 있으니까요. 특히 버스가 다니지 않는 저녁에는 기사들의 횡포가 더 심합니다.
그럼 연길에서 즐거운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배낭여행용 배낭 고르기 - 밤의추억의 배낭여행 노하우 제 1 탄 (2) | 2007.09.14 |
---|---|
사이버 환전으로 최대 70% 수수료 할인 받기 - 밤의추억의 환전 노하우 제 4 탄 - (2) | 2007.09.10 |
환전 노하우 현금편 - 밤의추억의 환전 노하우 제 3 탄 - (0) | 2007.09.04 |
환율고시표 보는법 - 밤의추억의 환전 노하우 제 2 탄 - (0) | 2007.09.03 |
환전의 개념 - 밤의추억의 환전 노하우 제 1 탄 - (0) | 2007.09.03 |
하얼빈 빙등제에서 만난 우리의 남대문... (2) | 2007.09.29 |
---|---|
연길시 하남가의 첫 눈 (0) | 2007.09.03 |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2) | 2007.08.25 |
산문 - 중국으로부터의 서백두 여행의 관문 (0) | 2007.08.25 |
백두산 폭포 - 천지로부터 흘러와 물안개를 일으키며 부서지다 (0) | 2007.08.25 |
연길에 가면 북조선식당이 두 곳이 있습니다. 해당화식당과 류경식당이 그 두곳인데 모두 북한 정부에서 운영한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시설은 류경식당이 좋고 음식의 맛은 두 곳이 비슷 합니다.
북한음식의 맛은 맛있다거나 없다고 말하기가 힘이 듭니다. 중국음식하고야 비할 바가 안 되지만, 같은 음식인데 약간 제 입맛에는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미묘하게 익숙하게 먹던 맛하고는 차이가 난다고 할까요. 종업원의 서비스는 해당화 쪽이 조금 더 신경 쓰는듯 하더군요. 두 식당의 특징은 모두 저녁 7시에 짧게 한 40분 공연을 한다는 겁니다. 공연의 내용은 밴드반주에 노래와 춤입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반갑습니다' 나 등려군의 '월량대표아적심'과 북한노래 및 한국노래를 부릅니다. 크게 기대하실 수준은 아니더라도 새로움을 느끼실 수 있으실 껍니다.
전체적으로 음식의 가격이 비싼편이므로 이 공연을 놓치시면 본전 생각나실듯 하네요 늦지 않도록 신경쓰세요 . 두명 기준으로 싸게 먹어도 80 ~ 100 위안정도인테 중국 음식점에 비해 나오는 음식의 양이 적습니다. 혹시나 회와 술을 드신다면 2-300원도 쉽게 넘어가니 가격에 유의하시고 주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공연하다가 같이 노래나 춤을 추자고 잡아 끌면 같이 나가 노래 부르고 춤 추세요. 북한에서는 춤과 노래가 일반적인듯 합니다. 한국관광객들은 빼시는 분들 계신데. 연길도 그렇고 그쪽에 문화 자체가 그런게 흠이 안되는 분위기였습니다. 또 공연하느라 수고한 종업원들에게 꽃선물을 하시려면 카운터에 가시면 조화로 된(ㅡ,.ㅡ; 네 재탕하기 위한...쩝) 꽃다발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가격은 50위안 인걸로 기억. 그냥 북한 동포들을 돕는다 생각하고 알고 돈 쓰는 식당이니 알아서 본인 계획하에 가서 소비하고 나오시면 되겠습니다.
여기는 종업원들이 서빙부터 공연 그리고 뒷정리에 설겆이까지 다 합니다. 가끔은 한복을 입고 서빙하던데 불편해서 자주 입지는 않는것 같았습니다. 종업원들이 수준이 있고 센스도 있고 민감한 내용이 아니면 대화도 잘 합니다. 단지 동정하는듯한 투의 말을 하면 민감하게 반응하더군요. 기분 나빠하니까 삼가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럼 종종 연길에 대해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밤의추억이었습니다.
Copyright ⓒ 2007 www.nightmemory.com. All Rights Reserved.
동방불고기(뚱팡샤오카오) - 연길의 맛집 2 (0) | 2007.09.03 |
---|---|
풍무뀀성(펑마오촨청) - 연길의 맛집 1 (0) | 2007.09.03 |
중국에도 연대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못 믿으시겠다고요? 믿으세요. (0) | 2007.08.22 |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 혼례 행사... (0) | 2007.08.21 |
청도시 관광지 5. 4. 광장과 해변 산책로 (0) | 2007.08.19 |
Copyright ⓒ 2007 www.nightmemory.com. All Rights Reserved.
우육면, 중국에만 있는 캘리포니아식 소고기탕면 미국가주우육면대왕 (0) | 2007.09.01 |
---|---|
훠궈(후어구어), 중국식 샤브샤브를 즐겨보세요 (0) | 2007.08.31 |
쫜빙(말아놓은떡) - 바삭 바삭하게 튀겨놓은 달짝지근한 팥고물 과자 (0) | 2007.08.30 |
스궈 마랑펀(돌솥 매운국수) 중국 윈난성 음식입니다. (0) | 2007.08.30 |
참일슬 - 중국에만 있는 한국 전통 짝퉁 소주 (2) | 2007.08.17 |
혐한랩으로 분석한 반한 감정의 원인과 중국 문화 - 제 3 부 - (8) | 2007.08.29 |
---|---|
혐한랩으로 분석한 반한 감정의 원인과 중국 문화 - 제 2 부 - (0) | 2007.08.29 |
아프간 한국인 피랍자 19명 전원 석방 결정 (0) | 2007.08.28 |
혐한랩 중국에서 인터넷에 퍼져... 중국에서 반한 감정 격해지는가? (1) | 2007.08.28 |
디워(D-War) 미국에서 평론가에게 혹평받다 - 숫소에 립스틱 발라준다고 섹시해 지지 않는다고라고라 (2) | 2007.08.27 |
연길시 하남가의 첫 눈 (0) | 2007.09.03 |
---|---|
폭죽으로 시작하는 중국의 신년... (2) | 2007.09.01 |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 (2) | 2007.08.25 |
산문 - 중국으로부터의 서백두 여행의 관문 (0) | 2007.08.25 |
민족의 정기를 담은 우리나라 백두산 천지의 위용 (2) | 2007.08.17 |
중국에도 연대가 있다는것을 아십니까?
믿기 어려우시다고요? 믿거나 말거나죠. ^^
물론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연세대학교는 아닙니다. 하지만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연길시에는 중국에 사는 우리 민족인 중국동포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민족대학인 연변대학교가 있답니다.
중국에 와서 우리말을 사용하는 교육기관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은 밤의추억에게는 참으로 감격스러운 것이었습니다.
여기가 연변대학교 정문입니다. 현판에 연변대학이라고 적혀있는 것이 보이시나요? 설립은 1949년에 되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중국 동포들만 다니는 학교였다가 지금은 중국 한족들도 많이 다니고 있습니다. 중국 공산당이 선정하는 전국 110개 대학 안에도 선발이 되었다고 하니 여러가지 논란이 있다고는 해도 나름대로 중국에서 주목받는 대학임은 분명합니다.
연변대학교 본관의 모습입니다. 깔끔한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동북공정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많은 민감한 사정에 연루되고 있습니다만. 다른것은 몰라도 조선어문계만큼은 중국에서 제일로 인정을 받는다고 자부심이 대단했습니다.
캠퍼스를 거닐다고 만난 휴식공간입니다. 이런 곳에서 학우들과 식사를 한다면 즐거울 것입니다. 나무에 둘러둔 맑은 환경이란 팻말이 여느 한국의 대학을 보는 것 처럼 다정하게 느껴졌습니다.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곳이지만 이곳에서도 한민족 젊은이들이 자라나고 있는 것을 보니 참으로 뿌듯해 지는 밤의추억이었습니다. 부디 이 곳에서 새로 자라나는 세대와 한국에서 자라나는 세대 사이에는 좋은 일만 일어나기를 바라며 앞으로 좋은 교류를 가지길 바라며 모처럼 훈훈해진 마음을 안고 어느새 친숙해진 교정을 걸어나왔습니다.
이상 연길 연변대학 교정에서 밤의추억이었습니다.
동방불고기(뚱팡샤오카오) - 연길의 맛집 2 (0) | 2007.09.03 |
---|---|
풍무뀀성(펑마오촨청) - 연길의 맛집 1 (0) | 2007.09.03 |
북한음식점 해당화식당 연길점 (0) | 2007.09.01 |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 혼례 행사... (0) | 2007.08.21 |
청도시 관광지 5. 4. 광장과 해변 산책로 (0) | 2007.08.19 |